티스토리 뷰
어떤 CSS 단위를 사용해야할까?
부모요소에 따라서 바뀔 때
%나 em
브라우저에 따라서 바뀔 때
vw나 vh
rem
미디어쿼리에서 min-width나 max-width의 값도 rem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
요소의 너비와 높이에 따라 바뀔 때
%나 vw vh
폰트의 크기에 따라 바뀔 때
em나 rem
em과 rem의 사용
어떤 컴포넌트를 어디에 사용하는지에 따라 크기가 유동적으로 변해야한다면 em
(좋아요 버튼을 body에도 쓰면서, article의 자식요소로도 사용할 때)
어디서 사용하든 동일한 크기를 원할 땐 rem
depth가 많은 복잡한 코드에서 em을 사용하면 크기 계산이 어려움
> 폰트 사이즈는 rem 추천
반응형에서 폰트 사이즈가 줄어들면 패딩도 맞춰서 줄어들 수 있도록 패딩에 em 추천
하지만 제목과 본문이 폰트 크기가 다를 때는 폰트 크기 차이때문에 패딩 좌우 정렬이 틀어짐
> 그래서 패딩의 상하는 em으로 하되 좌우는 rem으로 맞춰주면 정렬 가능함
px을 em으로 계산해주는 사이트
PXtoEM.com: PX to EM conversion made simple.
What is an EM? Wikipedia puts it well: "An em is a unit of measurement in the field of typography, equal to the size of the current font." If your font-size is at 16 pixels, then 1em = 16px For more information visit Wikipedia and Mozilla MDN. What is the
pxtoem.com
'공부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드잇 Read me 파일 (0) | 2022.03.03 |
---|---|
코드잇 Git command (0) | 2022.03.01 |
CSS 학습 게임 - CSS Diner, Flexbox Froggy (0) | 2021.12.22 |
Ajax, json (0) | 2021.12.18 |
REST API (0) | 2021.12.17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javascript
- 회고
- React
- html
- js
- Python
- Til
- 깃
- map
- 김버그
- vue
- vscode
- scss
- 파이썬
- 제이쿼리
- 코딩앙마
- CSS
- 드림코딩
- 비주얼스튜디오코드
- Typescript
- 리액트
- git
- 구름에듀
- TS
- 자바스크립트
- 코드잇
- 제로초
- 저스트코드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타입스크립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